상생페이백은 정부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2025년 시행하는 소비 지원 정책입니다. 아래는 상생페이백 신청 정보를 정리한 가이드입니다.
소비자용 상생페이백
비수도권에서 카드 결제 시 증가분의 20%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, 소비복권 자동 응모.
- 대상: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(비수도권 결제자 우선).
- 기간: 2025년 9월 15일(월) ~ 10월 13일(월).
- 혜택:
- 환급: 전년 대비 카드 사용 증가분의 20%, 월 최대 10만 원, 총 30만 원 (디지털 온누리상품권).
- 소비복권: 비수도권 카드 결제 5만 원당 응모권 1장(최대 10장).
- 1등: 10명, 2,000만 원 온누리상품권 (비수도권 소비자만).
- 2등: 50명, 200만 원.
- 3등: 600명, 100만 원.
- 4등: 1,365명, 10만 원.
- 참고: 2~4등은 수도권 소비자도 응모 가능.
- 신청 방법
- 자동 신청 (권장)
- 정부 지정 카드사 연계 플랫폼(예: 신한, 삼성, 현대카드 앱) 이용.
- 카드 사용 데이터 자동 연동, 별도 신청 없이 환급 및 복권 응모.
- 참여 카드사: 신한, 삼성, 현대, 롯데, 비씨, 우리, 하나, 농협 (정확한 목록은 홈페이지 확인).
- 자동 신청 (권장)
-
- 수동 신청
- 상생페이백 공식 홈페이지(9월 15일 오픈 예정) 접속.
- 본인 인증(휴대폰, 간편인증) 후 카드 사용 내역 입력.
- 소비복권 응모권 자동 발급.
- 신청 기간: 2025년 9월 15일 ~ 10월 13일.
- 수동 신청
- 사용처
- 온누리상품권: 전통시장, 소상공인 가맹점(제로페이 가맹점 포함).
- 문화 쿠폰:
- 숙박: 80만 장, 최대 3만 원 할인.
- 미술전시: 160만 장, 3천 원 할인.
- 공연예술: 50만 장, 1만 원 할인.
- 영화: 450만 장.
- 스포츠시설: 70만 장 (기초연금 수급자 대상).
활용 전략
- 비수도권 전통시장, 소상공인 매장에서 카드 결제 후 자동 신청, 복권 응모와 환급 동시 챙기기.
- 예시 (안동 여행): 숙박비 20만 원(쿠폰 2장 적용→10만 원), 미술전시+공연 2.6만 원 할인, 카드 결제 20만 원→4만 원 환급, 총 16만 원 절감.
유의사항
- 카드 결제만 인정(현금, 간편결제 불가 가능성 높음).
- 비수도권 결제 5만 원 단위로 응모권 지급(예: 9.9만 원→1장, 10만 원→2장).
- 수도권 소비자는 2~4등 복권 응모 가능.
- 환급된 온누리상품권은 사용 기한(2025년 12월 31일) 내 소진 필수.
- 문화 쿠폰은 선착순 배포, 조기 소진 가능.
자주 묻는 질문
- 상생페이백 신청은 언제?
2025년 9월 15일~10월 13일, 카드사 앱 자동 신청 또는 홈페이지 수동 신청. - 복권 응모는 어떻게?
비수도권 5만 원 결제 시 응모권 자동 발급, 최대 10장. - 환급은 어디서?
디지털 온누리상품권, 제로페이 가맹점(전통시장, 소상공인 매장) 사용. - 수도권 소비자도 참여 가능?
네, 환급은 비수도권 결제 시, 복권은 2~4등 응모 가능.